'조직관리 및 의사소통/조직갈등관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조직관리 및 의사소통/조직갈등관리16

갈등관리를 위한 질문기법 갈등관리를 위한 질문기법 질문을 잘하는 것도 훈련이 필요하다. 여기 알다 두면 좋은 질문 기법을 몇가지 살펴 보도록 하겠다. 1. 열린 질문을 하라. - 먼저 사고를 확장하고 성장할 수 있는 질문은 열린 질문이어야 한다. A 질문 B 질문 - 참신이 필요할 때가 있고, 안 필요할 때가 있지.. 이제 그 정도는 파악할 때가 아닌가? - 흠... 정대리, 정대리가 갓 입사한 사원입니까? - 그럼 이대로 진행할 거예요? - 아 그랬군요. 방향을 많이 수정한 것 같은데 수정에 대한 방향성을 설명 해주겠습니까? - 그러네요. 서로 사전에 충분히 이야기했으면 좋았겠군요. 기획안 보고가 내일 모레인데 어떻게 수정하면 좋겠습니까? - A 질문은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질문이라기보다 상대방을 비난하는 힐문에 가깝다. A질.. 2023. 1. 5.
경청 방해요소 경청방해요소 우리가 경청하지 못하는 이유, 경청을 방해하는 요소를 하나씩 살펴보겠다. 1. 습관적 비몰입 - 우리 뇌의 용량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크다. 상대방이 이야기하는 것을 듣는 중에도 뇌의 3/4은 특별한 작업 수행 없이 놀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 그러니 이 때 의도적으로 상대의 말과 감정, 의도에 몰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지 않는다면 너무나 쉽게 다른 생각 속으로 빠져들게 되는 것이다. - 최근에 듣기에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더 자주 보게 된다. 공식적 회의 자리에서든 가벼운 미팅에서든 누군가 이야기를 하는 중인데 스마트폰을 계속 확인하는 사람들이 있다. 상대방의 이야기가 길어진다 싶으면 아예 듣지 않고 딴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많다. - 상대를 무시한다거나 이야기가 지루해서 그런것이 아.. 2023. 1. 4.
승승적 갈등해결 프로세스 1. 문제를 명확히 하라 두사람이 해결해야 할 공동의 문제는 '성과 평가 결과의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검토하고, 필요하면 조정하거나 조정이 불가능하다면 서로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대화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갈등에서 문제를 바로 찾기가 쉽지 않다. 서로이 불편한 감정이 갈등 대화를 통해 증폭되면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가 점점 가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가 명확해지면 더 이상 갈등의 대상은 상대방이 아니라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된다. 사람에서 문제로 관심사와 에너지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2. 나와 상대가 진짜로 원하는 것을 찾아라 갈등 상황이 벌어졌을 때 문제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부정적인 감정에만 휘둘려 말을 주고 받다 보면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어디론가 가버리고 서로 감정을 쏟.. 2023. 1. 3.
선생 김봉두_사례를 통한 승승적 갈등해결3 사례3. 길을 지나가려는 주민과 못 지나가게 하는 주민 사이에 다툼 다음의 사례는 영화 '선생 김봉두'에 나오는 동네 주민의 갈등 에피소드이다. 선생님: 아니 왜들 그렇게 싸우세요? 남진아버지: 아니 선생님이요.내가 저 하우스에 물 좀 뿌릴라고 이 호스를 연결했는데 아 이자식이 경운기로 호스 위를 지나가는 바람에 호스가 찢어져가지고 이 것 좀 보셔요 석만아버지: 아이 선생님이요. 아이 나는 당장 이거 내다 팔긴데 지나가지 말란말여? 남진아버지: 내말은 내가 호스를 깔아놨는데 왜 내 위를 왔다 갔다 하난 말여? 석만아버지: 에이 뭐라고? 그럼 나보고 어쩌라는 거여? 선생님: 아아아... 잠깐만요. 진정 좀 하세요. 진정 좀! 그러니까 남진이 아버님은 하우스에다 물을 대야 되니까 홋를 여기다 놔야 되는 거고.. 2023.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