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2

성과, 전략, 프로세스 평가 성과평가, 전략평가, 프로세스평가 조직에서 제도적으로 실시하는 성과평가는 반기나 연간 단위인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상시평가나 수시평가도 많은 조직에서 도입해 실행하고 있지만, 인사평가의 관점에서 성과평가와 역량평가의 결과자료는 승진이나 성과급, 차등 인센티브이 기준으로 활용될 것이기 때문에 공정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구성원 중 소위 MZ세대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공성성에 대한 문제는 사회적인 이슈로 자주 떠오른다. 예전에는 ㅈ주로 연공서열에 따라 승진이나 보상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그러한 관행에 근본적인 제동이 걸리고 있다. 인사평가의 공정성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에 기준 공정성, 절차공정성, 평가공정성의 3가지 측면의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얻.. 2023. 2. 6.
리뷰와 프리뷰 리뷰와 프리뷰의 조화 컨설팅이나 코칭을 위해 많은 조직에 가보면 공통점이 있다. 구성원 대부분이 프리뷰 중에서도 목표를 설정하는 부분은 그나마 열심히 한다. 하지만 전략을 고민하거나 예상 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일에는 아직 그다지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다. 하물며 과제가 끝나고 나서 리뷰하는 활동은 일상적인 업무활동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부너이다. 제도로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 옆에서 누가 꼭 해보라고 권유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인식의 수준이 그러하다 보니 업무가 완료되고 나면 그냥 그걸로 끝이라고들 대부분 생각한다. 그래서 성과를 평가하고 원인을 분석하는 일에는 거의 시간을 쓰지 않는다. 만족할 만큼의 성과가 나와서 시간이 없어서, 일이 끝나면 쉬고 싶어서, 리뷰하는 요령을 잘 몰라.. 2023. 2. 3.
성과평가와 피드백 기간별 과정 성과평가와 피드백 일을 하다 보면 같은 부분에서 실패나 실수가 반복된다는 것을 느낄 때가 있다. 문제라는 것을 알면서도 결과물 전체를 뒤흔들 만한 요소가 아닌 이상 그냥 넘어간다. 우등생들이 오답노트를 쓰듯이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야 한다는 건 누구나 안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업무가 끝날 때마다 꼼꼼히 평가하고 분석한다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반복적인 실패를 막을 수 있을까. 최선의 방법은 일을 완료하고 나서 주기적으로 꼼꼼하게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1. 구체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주기적인 평가의 필요성 - 그러나 현실은 연말에 딱 한번, 1년을 돌아보는 수준의 성과평가나 결과평가가 고작이다. 1년에 한 번씩 성과평가를 하면 조직이든 개인.. 2023. 2. 2.
일일 성과관리 일일성과관리가 연간 성과목표 달성 좌우한다. 일을 통해 성취와 만족을 느끼는 순간이 있었다면 어떤 순간을 꼽을 수 있을까. 원하던 결과물을 손에 쥐었을 때가 아닐까. 그런데 우리는 이런 희열을 보통 연말에만 몰아서 즐기는 것 같다. 평상시에는 긴장의 끈을 놓고 있다가 연말이 다가오면 어떤 성과가 나올지 조마조마한 심정으로 기다린다. 한해의 성과는 오늘 하루에서 시작한다. 하루를 의미 있고 뿌듯하게 보내는 가장 기본적인 힘은 '일일목표'에서 나온다. 목표가 있는 사람은 하루라는 시간을 발전과 성장이 기회로 삼는다. 1. 오늘은 연간 성과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을까. - 자신에게 맡겨진 일을 모두 실수 없이 처리했다고 해서 성과목표가 달성되고 있는 것일까. 열심히 실행한 것은 맞지만 성과목표와 관련된 일을 했.. 2023.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