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과 비전
본문 바로가기
조직관리 및 의사소통/성과관리

미션과 비전

by 량배츄 2023. 2. 20.
반응형

미션과 비전은 행복한 인생의 기본조건

 

직장인들은 목표를 수립하는 데 익숙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늘 힘쓴다. 그런데 똑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도 누구는 쉽게 지치는 반면 누구는 지치지 않는다. 게다가 남들은 어렵다고 손사례 지는 업무임에도 오히려 고무되어 속도를 낸다. 그들에게는 목표 이외에 삶을 지탱하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미션'이다. 자신이 추구하는 미션과 일치하는 목표를 향해 살아갈 때 그의 삶은 흔들림이 없다. 실패해도 좌절하지 않고 끊임없이 나아갈 수 있는 힘, 이러한 저력은 '미션과 비전'에서 나온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원칙인 셈이다.

삶이 열정적이지 못한 이유는 미션과 비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션과 비전이 명확하면 사명감에 가슴 설레고 해야 할 일이 구체화된다. 그렇게 구체화된 일을 해내다 보면 일의 결과물은 자신의 능력과 역량이 향상되고 있음을 느낀다. 미션과 비전은 의미있고 역동적이며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한 기본조건이다.

 

1. 미션: 고객을 위한 존재의 목적과 기여가치

- 미션의 핵심구성요소는 대상과 가치다. 미션을 기술할 대는 현재 속한 조직이나 인생의 관점에서 직장과 사회에 기여하고자 한는 대상, 대상과제와 기여하고자 하는 가치를 적어보면 된다.

- 이를 시간적 개념으로 구분할 때, 장기적 관점위 미션은 일하고 있는 직작에서의 존재목적, 업의 본질, 기여하고자 하는 가치, 사명이 된다. 단기적 관점의 미션은 월, 분기단위로 회사나 소속된 조직에 기여할 일 즉 '과제'를 말한다.

- '나는 우리 회사이 일하는 프로세스를 성과관리 방식으로 혁신하여 모든 구성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일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것은 어느 직장인이 미션이다. 이렇듯 미션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가치 지향적인 일', '중요한 일',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는 뜻을 포함한다.

- 자신이 미션을 잘 발견하고 깨닫는 방법은 조직이나 상위기관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역할과제를 찾는 것이다. 미션이란, 고객에게 어떤것을 기여하고, 어떤 가치를 전달하려는지, 그러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포함한다.

 

2. 비전: 미션을 실행하기 위한 도구이자 주특기

- 비전이란 미래의 일정 시점에 대한 기대하는 모습, 즉 '전망'을 의미한다. 미션이 조직에서 자신이 기여하려는 가치, 해야 할 과제를 의미하는 '가치 있는 역할'이라면, 비전은 미래의 일정 시점에 도달했을 때 기대하는 자신의 모습, 가장 잘 할 수 있고 적성에 맞는 모습을 구체화한 '차별화된 미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 비전은 미션을 추구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종합병원 영업전문가, 임플란트 영업 전문가, 인사 전문가, 상품기획 전문가, 해외홍보 전문가, 제조원가 분석 전문가, 디지털가이드 개발 전문가 등과 같이 자신의 미션수행을 위해 실행수단으로 선택한 주특기 말한다.

-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2025년 임플란트 업계 영업전문가 no1_연매출15억, 고정매출 충성 거래처 300개, 임플란트, 디지털 치과재료, 장비, 신규개원 5개 분야 지식과 스킬 95점 이상' 더 멀리 내다보고 더 크게 성장하려는 동기를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사람은 자신이 기여하고자 하는 가치인 미션이 명확하고, 실행수단인 비전이 구체적이다. 비전의 핵심구성요소는 마치 이루어진 듯한 조감도처럼 표현된 '투 비 이미지'다. 이것은 달성 시점과 달성된 모습을 구체적인 세부내역으로 표현한 것이다. 비전은 왜 그러한지, 비전을 통해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 근거와 명분이 명확해야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실천할 수 있다.

 

자기 스스로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하는 사람은 비전달성을 위한 단계별 자기계발 목표가 객관적이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KBI(key behavior indicator)가 숯치화되어 있다. 또한 이것을 진정성과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 반복적으로 서실하게 실천한다. 미션과 비전을 실행으로 옮기려면 핵심행위지표, 즉 KBI도 잘 설정해야 한다.

아래와 같은 예를 들수 있다.

  • 나는 매일 아침 오늘 해야 할 과제와 원하는 결과물의 기준을 정하고 완료시간과 예상소요시간을 설정하고 원하는 결과물을 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를 정리하고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 나는 매주 신규거래처를 2군데 이상 방문하고 우리 회사의 차별점을 설명한다.
  • 나는 매월 월간성과를 평가하고 개선과제와 만회대책을 수립하여 팀장에게 코칭받는다.
반응형

'조직관리 및 의사소통 > 성과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량향상의 비결  (0) 2023.02.17
협업역량  (0) 2023.02.16
소통의 목적  (0) 2023.02.15
델리케이션을 위한 실행도구  (0) 2023.02.14
권한위임을 받을 준비  (0) 2023.02.13

댓글